오래된 부부가 멀어지는 이유에 대한 반박

자연을 넘어 자유로 가는 길 최근 유튜브에서 화제가 된 영상이 있다. 제목은 “오래된 부부 사이가 나빠지는 과학적인 이유.”(https://www.youtube.com/watch?v=ImicrCDH9us&t=1493s)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는 이중진자 법칙을 통해 왜 부부가 갈등하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영상은 흥미롭다. 초기에는 거의 같았던 두 진자의 각도가 시간이 지나며 완전히 다른 궤적으로 움직인다. 그는 말한다. 부부 관계도 마찬가지라고. 결혼 초기에 있었던 사소한 차이, 이를테면 성격이나 생활 습관의 미묘한 차이가 시간이 흐르면서 예측할 수 없는 불협화음을 만든다는 것이다. 이 설명은 설득력 있다. 과학은 삶의 현상을 명쾌하게 설명하는 도구다. 하지만 이 설명이 전부일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부부관계는 자연의 법칙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 정신의 힘, 자유와 선택, 성찰과 회복의 가능성 안에 진실이 있다. 이중진자와 인간 정신은 다르다 이중진자 법칙은 자연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묘사한다. 하지만 인간의 정신은 그 법칙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 물리적 세계는 인과율에 따라 움직인다. 하지만 인간은 단순한 반응 기계가 아니다. 우리는 생각할 수 있고,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으며, 무언가를 ‘선택’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에서 인간 정신은 자연을 넘어선다. 부부관계 또한 그렇다. 두 사람은 본능에 의해 사는 것이 아니라, 의지로 살아간다. 자연적 필연성으로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다가가기로 ‘결정’할 수 있는 존재다. 남자는 페르소나로, 여자는 모성성으로 시작한다 결혼 초기를 되돌아보면, 남자는 사회적 가면을 쓰고 관계를 시작한다. 이 페르소나는 남성성의 상징이고, 사회적 성취와 책임, 리더십으로 표현된다. 반면 여자는 모성성을 중심으로 관계를 시작한다. 돌보고, 배려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