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이 없는 사회는 자율도 없다




욕이라는 언어는 무엇을 말해주는가



욕은 흔히 무례하거나 품위 없는 언어로 인식되곤 합니다. 그러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욕은 억압된 감정이 외부로 분출되는 자연스러운 통로이기도 합니다. 감정 표현이 허용되지 않는 사회에서는 억압이 더 심해지고, 억압은 결국 내면의 불안과 심리적 경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국은 욕이 많은 나라, 일본은 욕이 거의 없는 나라


한국 사회에는 수십 가지가 넘는 다양한 욕이 존재합니다. 이는 한국의 관계망이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라는 점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다양한 욕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감정 표현의 방식도 다양하다는 뜻이 됩니다.


반면 일본은 대표적인 욕이 ‘바카야로(ばかやろう)’ 하나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론 억양이나 표정, 상황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달라질 수는 있지만, 언어적 표현의 폭은 매우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는 억압적인 문화 구조의 반영이기도 합니다.


억압과 자율성은 반비례 관계입니다


욕이 하나뿐인 사회는 억압이 많다는 뜻이며, 거꾸로 억압이 많다는 것은 표현할 언어적 도구 자체가 부족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감정을 표현할 수 없을 때, 자율성은 자랄 수 없습니다. 자율은 억압이 제거되고, 감정 표현이 자유로운 환경에서만 발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말합니다. “욕이 없는 사회에는 자율도 없다.” 이 말은 단순히 욕이 많아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통로와 자유가 없으면 개인은 자율적 주체로 성장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셀프(Self)의 문화적 차이: 한국, 일본, 북한


이 욕의 문화는 결국 ‘셀프’의 구조와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각자의 내면에 고유한 ‘셀프’를 지니고 있습니다. 반면 북한은 한 사람, 즉 김정은만이 ‘셀프’로 존재하는 사회입니다. 그래서 북한 주민들은 그를 ‘존엄’이라고 부릅니다.


북한의 이 수령 중심 사상은 일본의 천황제도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황장엽이 일본에 머물며 이를 연구하고 이론화한 결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한 사회가 허용하는 욕의 폭은 그 사회가 허용하는 자아(Self)의 수와 비례합니다.


품위 있는 자율: 욕을 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


하지만 욕이 많은 사회라고 해서 모두가 욕을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정한 자율은, 욕을 하지 않을 수 있는 선택권까지 포함합니다.


개별화가 잘 이루어진 사람은 감정이 격해진 순간에도 언어적 통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상대가 욕을 하더라도, 나는 욕을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단순히 인내심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통제력, 그리고 자신의 언어에 대한 자부심, 품위와 관련된 문제입니다.


이런 사람은 욕을 입 밖에 내지 않더라도, 내면의 감정을 건강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그만큼 셀프가 성숙해져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욕은 자율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그 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자유는 더 높은 차원의 자율입니다.


정리: 욕은 문화와 정신의 거울입니다


욕은 단지 불쾌하거나 저급한 언어가 아닙니다. 그것은 한 사회의 감정 표현의 폭을 보여주는 거울이며, 개인의 자율성과 품위를 시험하는 무대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욕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 또 어떤 욕을 하지 않기로 선택하는지를 통해, 우리는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 또 우리가 속한 사회가 어떤 구조 속에 놓여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감정이 말살되지 않고, 자율성이 살아 있는 사회. 서로의 품위를 존중하면서도 억압되지 않은 언어가 허용되는 건강한 공동체를 꿈꾸어 봅니다.

📌 요약 문장:

욕은 자율성의 시작입니다. 그러나 더 높은 자율은 욕을 하지 않을 수 있는 힘에서 나옵니다.

억압 없는 사회일수록 표현의 폭이 넓고, 품위 있는 셀프가 자랍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결혼은 부모님을 위한 것이 아니다

아기는 알고 있다

남자와 여자, 감정의 갭과 부부싸움의 의미